통합검색
공지사항 (총 18건)
더보기한국해외인프라도시개발지원공사(이하 “KIND”)와 해외건설협회는 공동으로 2019. 5. 20(월) 10시, Two IFC 더 포럼(서울 여의도)에서
‘방글라데시 PPPA MOU 체결성과 공유 및 진출전략 설명회’를 개최할 예정입니다.
본 설명회를 통해 KIND와 PPPA 간의 MOU 체결내용에 대해 설명하고 향후 추진계획 및 기업 참여방안을 소개할 계획이오니
방글라 PPP 시장 진출에 관심있는 기업의 많은 관심과 참석을 부탁드립니다.
1. 일 시 : 2019년 5월 20일(월) 10:00 ~ 11:30
2. 장 소 : Two IFC 3층 The Forum 301호 (서울 여의도)
3. 주요내용
- 방글라 인프라 시장 현황 및 전망 발표
- KIND–PPPA 간 MOU 체결성과 공유
- 향후 추진계획 및 기업 참여방안 소개
4. 문 의 : 사업총괄실
붙임 1. 설명회 개최안 1부.
2. 참가신청서 1부. 끝.
2019. 05. 07
한국해외인프라도시개발지원공사(이하 “KIND”)와 방글라데시 PPPA는 공동으로 2019.7.18(목), 롯데호텔 서울(소공동)에서 '방글라데시-한국 1차 Joint PPP Platform'을 개최할 예정입니다.
1. 일 시 : 2019년 7월 18일 13:50 ~ 16:20
2. 장 소 : 롯데호텔 서울(소공동) 36층
3. 주요내용
- 첨부파일 참조
4. 문 의 : 사업총괄실
2019. 07. 12
방-한 1차 Joint PPP Platform (7.18)에서 소개한 12개 PPP사업과 관련하여 9.6(금) 16시까지 첨부파일 참조하시어 관심의향서 제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관련문의 : KIND 사업총괄실(02-6746-7367, sm.hur@kindkorea.or.kr)
2019. 08. 26
KIND 소식 (총 35건)
더보기지난 6월 27일, 여의도 콘래드 호텔에서 KIND의 설립 기념행사가 있었습니다.
국토교통부 장관님을 비롯한 많은 귀빈 여러분께서 이 자리에 참석해 주셨습니다.
개소식 후에는 "해외 PPP 시장의 현주소와 국내기업의 대응전략"이라는 주제로 세미나가 진행되었습니다.
KIND’s foundation ceremony was held in Conrad Hotel in Seoul on the 27th June, 2018.
Minister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and other distinguished guests attended the ceremony.
It was followed by a seminar on “Global PPP market trend and Korean companies’ strategies against the trend”.
2018. 07. 12
2018. 10. 22
KIND는 지난 11월7일 PPP사업 개발/시행과정 중의 분쟁 해결을 주제로 워크샵을 진행하였다.
스위스 소재 중재전문사인 PMG의 founding parner인 Mr. Pierre M. Genton이 워크샵을 진행하였고, 투자사업에서의 분쟁시 주요쟁점과 분쟁을 예방을 위한 주안점에 대해 교육하는 시간을 가졌다.
2018. 11. 07
보도자료 (총 10건)
더보기한국해외인프라도시개발지원공사(KIND),
필리핀 도시개발 사업 확대를 위한 협력 기틀 마련
- 필리핀 기지전환개발청(BCDA)과 상호협력 양해각서(MOU) 체결 -

한국해외인프라도시개발지원공사(사장 이강훈, 이하“KIND”)는 2월 16일(금) 필리핀 기지전환개발청(Bases Conversion and Development Authority, BCDA)과 필리핀 클락의 도시개발사업 협력을 위한 상호협력에 대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기지전환개발청(BCDA)은 필리핀 군사기지 부지를 개발하여 경제를 활성화 하는 목적으로 설립된 정부기관으로 민관협력사업(PPP)을 통해 주거·상업 시설 등 도시개발과 도로, 공항, 항구와 같은 중요 인프라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이번 양해각서의 목적은 루손섬 중부 클락지역(Clark Special Economic Zone, Clark Freeport Zone, and the New Clark City)의 주거·상업·스마트시티 등 개발을 촉진하기 위한 양사간의 협력을 공식화 하는 것이다.
KIND는 필리핀에서 2022년 우리나라 중견·중소기업인 세경산업과 세부(Cebu) 지역 서민주택 사업에 공통 투자 승인 후 공사를 진행하고 있으며, 2023년 DS네트웍스와 함께 보홀 친환경 관광단지 개발사업(1단계) 투자를 승인하였다.
KIND 원병철 사업개발본부장은 필리핀 인구가 세계에서 13번째로 많고(약 1억 1,300만) 출산율은 1.9명 수준이나 극심한 빈부격차를 겪는 나라라며, 서민주택을 포함한 주택수요가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향후 우리기업과 함께 적극적인 도시개발 사업을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2024. 02. 16
한국해외인프라도시개발지원공사(KIND), 인천항만공사와
상호협력 위한 양해각서(MOU) 체결
- 유망 해외사업 공동 발굴, KIND 투자·출자 제공 등 협력 기틀 마련 -
한국해외인프라도시개발지원공사(사장 이강훈, 이하 “KIND”)는 2월 22일(목) 인천항만공사와 ‘해외사업 공동 발굴 및 상호교류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양 기관은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상호 유기적인 협력체계를 구축하여 해외사업과 관련한 정보를 교환하고, 유망 해외사업을 공동 발굴할 예정이다. 협약식에는 KIND 원병철 사업개발본부장, 인천항만공사 김순철 경영부사장 등 관계자 10여 명이 참석했다.
주요 협약내용은 ▴해외사업 관련 정보의 상호교환 ▴유망 해외사업의 공동 발굴 ▴KIND의 출자·투자 제공 ▴공동 업무연수와 인적교류를 통한 상호협력 등이다.
KIND 원병철 사업개발본부장은 “KIND가 보유한 해외 PPP 사업개발과 금융지원 역량, 인천항만공사의 항만시설 개발·관리 및 운영 전문성을 서로 연계하여 양 기관의 해외사업 포트폴리오를 확대하고, 나아가 해외 PPP 사업을 추진하는 우리 기업들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인천항만공사는 인천항을 경쟁력 있는 해운물류의 중심기지로 육성하기 위하여 2005년 설립된 기관으로서 중국과 베트남에 해외사무소를 설치하고 해운·항만 개발협력 사업을 검토하는 등 해외 사업 확장을 위한 꾸준한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2024. 02. 22
'파라과이 경전철 사업 수주 무산' 보도의
사실은 다음과 같습니다.
< 보도 내용 (연합뉴스(9.7) 등) > ◈ 한국 공들였던 8천억원 규모 '파라과이 경전철 수주' 뜻밖 무산 ㅇ 파라과이 정부는 우리나라 공공·민간기업 등으로 구성된 ‘팀코리아’(Team Korea)와 진행하던 협상을 종료하기로 결정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
한국해외인프라도시개발지원공사(사장 이강훈, 이하 ‘KIND’)는 2019년부터 파라과이 경전철 사업을 추진해 왔습니다. 이를 위해 KIND-파라과이 철도공사(이하 ‘FEPASA’)와 양해각서(MOU)를 2020년 8월에 체결하였습니다.
KIND는 파라과이 경전철 사업 추진을 위해 예비컨소시엄(KIND, 현대엔지니어링, LS산전, 계룡건설)을 구성하였고, 2020년 11월에 타당성조사를 시작하여 2021년 5월 완료한 후 2021년 11월에 최초 제안서를 파라과이측에 전달하였습니다.
이후, 파라과이 정부는 안정적인 사업추진을 위해 ‘파라과이 경전철 특별법’ 제정을 추진하였으나, 2022년 말 파라과이 의회에서 부결되어 사업이 지연되었습니다.
2023년 말 ‘파라과이 경전철 특별법’이 최종 의결되었으나, 코로나, 동유럽 및 중동지역의 전쟁, 프로젝트 파이낸싱 금리 상승 등으로 공사원가 상승을 포함한 복합적인 원인으로 사업성이 악화되어 2024년 2월에 기존 예비컨소시엄 기업은 모두 사업을 철회하였습니다.
KIND는 이와 같이 사업이 무위로 돌아갈 상황에서도 포기하지 않고 새로운 건설투자자를 모집하기 위해 최선을 다했으나, 급격한 공사원가 상승 및 PF위기 등의 이유로 신규 건설투자자 모집에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KIND는 사업을 포기하지 않고 부족한 사업성을 확보하여 다시 본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단계별 개발 및 상·하분리*로 사업성을 강화하였습니다.
* 상부(신호,전기,통신,차량, PPP), 하부(토목,건축, EDCF)로 분리하여 상부는 PPP사업으로 한국 예비컨소시엄이 추진하고, 하부는 EDCF로 지원할 계획이었음.
어려운 사업환경에서도 포기하지 않은 결과, 2024년 4월에 참여 의향이 있는 기업으로 예비컨소시엄을 새로 구성하여, 2024년 6월 말에 ‘파라과이 경전철 사업 재구조화(안)’을 파라과이 정부에 제안하였습니다.
ㅇ 총 43.2km 중 수요가 집중된 복선 14km를 우선 개발하는 단계별 개발방식으로, 상부는 PPP 모델로 한국측이 수행하고, 하부는 EDCF를 활용하는 혼합금융을 제안하였습니다.
ㅇ 혼합금융방식은 일반적인 투자개발사업의 금융보다 저리의 대출을 장기간 제공하는 기법으로 EDCF에서 하부 토목공사 전체를 지원함으로써 파라과이 정부의 부담을 최소화하는 제안이었습니다.
KIND는 어떠한 조건에서도 포기하지 않고, 사업 수주를 통한 한국 최초 철도 시스템 패키지 수출의 목적을 달성하려 노력하였지만, 파라과이 정부는 본사업을 KIND와 개발하는 것을 지속하지 않기로 결정하였고, 향후 공개입찰을 통하여 진행할 것임을 현지 언론을 통해 발표*하였습니다.
* FEPASA는 현지 언론 브리핑(한국시간 9월6일 20시경) 후 KIND에 간략히 유선으로 통보(한국시간 9월6일 23시경)
KIND는 파라과이 정부의 선택을 존중하며, 향후 파라과이 정부가 본 사업 관련 협력을 제안할 경우 적극 협조할 계획입니다.
2024. 09. 08
홍보영상 (총 1건)
더보기카드뉴스 (총 1건)
더보기채용정보 (총 1건)
더보기입찰정보 (총 25건)
더보기다음과 같이 용역입찰을 긴급공고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붙임파일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1. 용역명 : 인도네시아 메단시 Urban Transportation PPP 사업 예비타당성조사
2. 입찰 공고번호 : 한국해외인프라도시개발지원공사 입찰공고 제2019-2호 (KIND-BID-2019-2)
3. 공고일시 : 2019. 03. 06(수)
4. 입찰 및 계약방법 : 일반경쟁, 총액입찰, 협상에 의한 계약
5. 입찰참가자격등록 : 2019. 03. 20(수) 16시까지
6. 제안서제출 : 2019. 03. 21(목) 16시까지
7. 기타문의 : 한국해외인프라도시개발지원공사 사업총괄실(02-6746-7367, 7370)
2019. 03. 06
사우디-바레인 킹하마다ㅡ코즈웨이 도로-철도복합 PPP사업 예비 타당성 조사 용역에 대한 사전규격공개를 국가종합조달정보시스템(나라장터)에 공개합니다.
* 의견제출기한: '20.2.8.(토)
상세사항은 국가종합조달정보시스템 (www.g2b.go.kr)의 '입찰정보' - '용역' - '사전규격공개'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2020. 02. 03
다음과 같이 용역입찰을 공고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나라장터 및 붙임파일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1. 용역명 : 사우디-바레인 킹하마다ㅡ코즈웨이 도로-철도복합 PPP사업 예비 타당성조사
2. 입찰 공고번호 : 한국해외인프라도시개발지원공사 입찰공고 제2020-02호 (KIND-BID-2020-02)
3. 공고일 : 2020. 2. 10(월)
4. 입찰 및 계약방법 : 일반경쟁입찰, 총액입찰, 협상에 의한 계약
5. 입찰참가 등록 및 제안서 제출 : 2020. 3. 6(금) 16시 까지
- 제출장소 : KIND 사업총괄실 F/S지원팀
- 제출서류 : 붙임자료 참조
- 제출방법 : 직접방문 제출, 법인인감 및 신분증 지참
6. 가격입찰(전자입찰) : 2020. 02. 10(월) 16시부터 2020. 3. 6(금) 16시 까지
- 입찰장소 : 조달청 나라장터
- 개찰일시 : 제안서 기술능력평가 후 개찰
7. 기타문의 : 한국해외인프라도시개발지원공사 사업총괄실 F/S지원팀(02-6746-7418, 7416)
2020. 02. 10
사업실명제 (총 6건)
더보기국가별 PPP 진출가이드 (총 24건)
더보기11개국 PPP 진출 유망국 가이드북 중 베트남 자료를 붙임과 같이 게시하오니, 관계자들께서는 업무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국가 리스트 : 동남·서남아시아 4개국 (베트남, 인도네시아, 필리핀, 방글라데시), 중앙아시아 2개국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유럽 1개국 (튀르키예), 남미 2개국 (파라과이, 칠레), 아프리카 1개국 (케냐), 중동 1개국(사우디아라비아) 등
-책자 수령 문의 : 혁신정책팀 박수민 대리 (02-6746-7420, sm.park@kindkorea.or.kr)
2024. 05. 30
11개국 PPP 진출 유망국 가이드북 중 인도네시아 자료를 붙임과 같이 게시하오니, 관계자들께서는 업무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국가 리스트 : 동남·서남아시아 4개국 (베트남, 인도네시아, 필리핀, 방글라데시), 중앙아시아 2개국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유럽 1개국 (튀르키예), 남미 2개국 (파라과이, 칠레), 아프리카 1개국 (케냐), 중동 1개국(사우디아라비아) 등
-책자 수령 문의 : 혁신정책팀 박수민 대리 (02-6746-7420, sm.park@kindkorea.or.kr)
2024. 05. 30
11개국 PPP 진출 유망국 가이드북 중 필리핀 자료를 붙임과 같이 게시하오니, 관계자들께서는 업무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국가 리스트 : 동남·서남아시아 4개국 (베트남, 인도네시아, 필리핀, 방글라데시), 중앙아시아 2개국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유럽 1개국 (튀르키예), 남미 2개국 (파라과이, 칠레), 아프리카 1개국 (케냐), 중동 1개국(사우디아라비아) 등
-책자 수령 문의 : 혁신정책팀 박수민 대리 (02-6746-7420, sm.park@kindkorea.or.kr)
2024. 05. 30
PPP 동향 및 진출전략 (총 55건)
더보기글로벌 PPP 사업동향 1월 자료입니다.
1. PPP 시장동향
2. PPP 사업정보
3. 지역별 주요뉴스
4. 마켓 집중탐구 (2022년 4분기 PPP 시장 분석, 넷제로로 가는 길 원자력의 역할)
5. PPP 사례 분석
2023. 04. 18
글로벌 PPP 사업동향 2월 자료입니다.
1. 글로벌 PF 현황
2. PPP 사업정보
3. 지역별 주요뉴스
4. 마켓 집중탐구 (일본 해외 인프라 정책 및 JOIN 기관 현황 )
5. PPP 사례 분석
2023. 04. 18
글로벌 PPP 사업동향 3월 자료입니다.
1. 2022년 유럽 PPP 시장 동향
2. PPP 사업정보
3. 지역별 주요뉴스
4. 마켓 집중탐구 (우크라이나 전쟁 영향 평가 결과)
5. PPP 사례 분석
2023. 04. 18
KIND News (총 27건)
더보기지난 6월 27일, 여의도 콘래드 호텔에서 KIND의 설립 기념행사가 있었습니다.
국토교통부 장관님을 비롯한 많은 귀빈 여러분께서 이 자리에 참석해 주셨습니다.
개소식 후에는 "해외 PPP 시장의 현주소와 국내기업의 대응전략"이라는 주제로 세미나가 진행되었습니다.
KIND’s foundation ceremony was held in Conrad Hotel in Seoul on the 27th June, 2018.
Minister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and other distinguished guests attended the ceremony.
It was followed by a seminar on “Global PPP market trend and Korean companies’ strategies against the trend”.
2018. 07. 12
KIND entered into Memorandum of Understanding (MOU) with Global Infrastructure Hub (GI Hub) in KIND's office in Seoul, on the 19th September. The MOU was signed by KIND's president & CEO Mr. Kyong-goo Hur and GI Hub's COO, Mr. Mark Moseley.
Both organizations agreed to collaborate to support more efficient PPP (Public-Private Partnership) project development globally.
2018. 09. 19
- KIND entered into Memorandum of Understanding (MOU) with Korea Environment Corporation (K-eco) in KIND's office in Seoul,
on the 12th February. The MOU was signed by KIND's president & CEO, Mr. Hur and K-eco’s CEO, Mr Jang.
- Both organizations agreed to collaborate to support more efficient PPP (Public-Private Partnership) project development globally
especially for environmental sector.
2020. 02. 14
방글라데시 (총 2건)
더보기인도네시아 (총 14건)
더보기□ 사업개요
ㅇ 사 업 명 : Cisaranten Public Housing PPP Project
ㅇ 사업개요 : 주택 공급 pilot project
ㅇ 투자금액 : 미정
ㅇ 건설비용 : 미정
ㅇ 지급방법 : Availability Payment (AP)
ㅇ 향후일정
-2024.04(입찰)
-2024.05~2026.02(건설)
-이후 15년간(운영)
ㅇ 협력기간 : 15년 (O&M) + 1년 건설기간 + 3개월 testing & commissioning
ㅇ 담당부처 : PUPR(Minister of Public Works and Housing)
ㅇ 담당자 연락처 :
Johan, Ministry of PUPR
Expert Policy Analyst
2023. 09. 26
□ 사업개요
ㅇ 사 업 명 : Karawang Spuur Public Housing PPP Project Stage II
ㅇ 사업개요 : 저소득층, 특히 주변 산업단지 노동자들을 위한 주택 공급
ㅇ 투자금액 : 2500억 Rp (약 1600만 USD)
ㅇ 지급방법 : Quarterly AP = AP Value – AP Deduction/Penalty Value
ㅇ 향후일정
-2024.05 (입찰)
-이후 20년간 (건설&운영)
ㅇ 협력기간 : 20년
ㅇ 담당부처 : PUPR(Minister of Public Works and Housing)
ㅇ 담당자 연락처
Bayu, Ministry of PUPR
Representative of Housing Financing Implementation
2023. 09. 26
□사업개요
ㅇ 사 업 명: Singkawang Airport PPP Project
ㅇ 사업개요: 서부 칼리만탄주 4개 지역이 주로 이용할 수 있는 공항 신설
ㅇ 예상사업비: 2.14조 Rp (약 1.35억 USD)
ㅇ 프로젝트 방식: DBFOM (Design-Build-Finance-Operation&Maintenance). BOT (Build-Operate-Transfer)
ㅇ 지급방법: User Charge
ㅇ 향후일정
-2023 10월~11월 3일 LoI 접수 중
-2023 Q4 PQ Announcement
-2024 Q1 Result of PQ
-2024 Q1~Q2 RfP Announcement
-2024 Q2 Bid Awards
-2024 Q3 PPP Agreement Signing
-2025 Q1부터 30년간 건설 및 운영
ㅇ 협력기간: 32년 (2024-2056)
ㅇ 담당부처: MoT(Ministry of Transportation)
ㅇ 담당자 연락처: CTIF Office, Ministry of Transportation
이메일: ppit@kemenhub.go.id
LoI 제출 이메일: singkawangairportppp@gmail.com
2023. 11. 03